유익한 정보

문명사 연재 29. 20세기의 경제사상 / PhD Hugo W. Kim

양곡(陽谷) 2023. 9. 25. 10:52

문명사 연재 29. 20세기의 경제사상

경제사상은 19세기에 공리주의, 사회주의, 한계효용 가치이론, 신고전 경제학 이론, 일반평형 이론, 역사와 제도주의 등의 경제사상이 발전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 세계대전과 경제 대공황을 체험하면서, 신고전 경제학은 당면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과 정책을 마련하지 못하여, 이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이론이 발전하였다. 다음에서 (a) 미시경제학 이론 (b) 거시경제학 이론 (c) 계량경제학과 경험적 방법 (d) 경영학 이론의 발전 (e) 경영학의 체계적 접근 순으로 논의한다.

(a) 현대 미시경제학 이론의 발전

앨프리드 마셜에 의해 정립된 신고전 경제학은 소비와 생산에서 한계효용의 이론을 적용하여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에서 자유롭게 가격이 형성되고 거래가 이루어져 경제가 효율적으로 작용한다는 이론이다. 수요와 공급의 분석은 상대적 가격을 적용하는 부분 균형 분석이다. 경제학자들은 무엇이 소득의 분배를 결정하며, 법과 세금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 미국에서 역사와 제도주의는 경제학을 논리나 수학 대신에 역사적 경험적 분석의 결과로 보았다. 그러나 주류 경제학자들은 경제학은 공학이 아닌 과학으로서 수학적 모델에 기초한 일반균형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이들을 형식주의자로 명명하였다.

형식주의 혁명 (Formalists): 1930년대 후반 형식주의자들의 연구 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마셜의 신고전 경제학은 쇠퇴하였다. 1950년대에 형식주의자들은 미시경제학에 레온 발라스의 일반균형 이론을 적용하여 수학적 구조로 개편하였다. 형식주의 혁명은 일반균형 이론의 중심인 애로우-디브루 모델(어떤 가정으로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가격이 형성)에 의해 절정에 도달하였다. 형식주의는 문제의 핵심을 해결하는 경제학 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수학적 방법(수리경제, 통계학, 계량경제)을 적용하였다. 일반균형 이론을 적용한 형식주의 모델은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을 분명히 제시한다. 이를테면 소비는 가용예산 범위에서 효용을 극대화하고, 생산은 제한된 비용으로 산출을 극대화한다. 교환은 소비량과 생산량이 같아야 낭비가 없이 효율을 극대화하므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성립하고, 라그랑주 함수로 해답을 구할 수 있다.

표: 최적화 수식
------------------------------------------------------
[소비] Maximize Utility: U (x, y)
Subject to Budget Constraints: B = x P(x) + y P(y)
[생산] Maximize Output: Q = f (K, L)
Subject to Allocated Cost: C = rK + wL
[교환] Consumption Budget = Production Costs
B = x P(x) + y P(y) = rK + wL = C
------------------------------------------------------
부호: U Utility, B - Budget, Q - Output, C - Cost, x & y - Goods, P - Price, K & L - Capital & Labor, r & w - interest & wage, f - Function.

폴 사무엘슨(1915-2009)은 1970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최초의 미국학자로 경제역사 학자 파커는 그를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사무엘슨은 1935년 시카고 대학을 마치고 1941년 하버드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MIT 대학 조교로 들어가 1944년 부교수, 1947년 정교수가 되어 평생을 봉직하였다. 그의 경제학 분석의 기초(1946)는 소비, 생산, 교환, 복지이론 등에 계량경제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의 대표작 경제학(1948)은 대학 경제학 교재로서 41개 언어로 번역되어 수백만 부가 팔렸다. 이 책은 케인스의 경제학 원리를 잘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밀턴 프리드먼(1912-2006)은 1976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경제학자이다. 그는 1932년 럿거스 대학을 마치고 1946년 컬럼비아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 재무성에서 일하였다. 1946년 시카고 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여 1977년 65세로 은퇴하고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저술 활동을 하였다. 그의 자본주의와 자유(1962)는 경제정책에 관한 수필을 모은 것으로 18개 국어로 번역되어 전파되었다. 그는 세금을 늘리면 소비가 감소하므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지 말고 중앙은행이 화폐공급량으로 경기를 조정해야 한다고(반 케인스) 주장하였다.

TO BE CONTINUDE

(b) 현대 거시경제학 이론의 발전
(c) 수리경제학 (Mathematical Economics)
(d) 경영학 이론의 발전
(e) 현대 경영학의 체계적 접근 (각론)

REFERENCES

Hugo W. Kim. The World Wars, The Cold War, and Terrorism From 1914 To 2015: Globalization and Interdependence (Part II). North Charleston, SC: CreateSpace, 2020, 1045-1344.

김휘국. 정치철학*경제사상과 함께 읽는 세계문명사. 서울: 한국전자도서출판, 2022, 728-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