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음악

삼월 /박서영(1968~2018)/ 이해우 해설

양곡(陽谷) 2023. 12. 28. 08:24

삼월
/박서영(1968~2018)

꽃잎들은 긴 바닥과 찰나의 허공이라는 계절을 지나는 중이다. 내가 사랑한 것들은 왜 그리 짧게 살다 떠나는지. 변하고 돌아서는지. 무덤 속에서 튀어 올라오는 사랑과 입맞춤을 한다. 나는 북쪽에 살아. 피부는 들판의 풀들처럼 자라면서 늙어가고, 가끔은 잠적하지. 그리곤 튀어오르지. 무덤 위에 피는 꽃처럼 잠시 아름다워지기도 해. 생일(生日)과 기일(忌日)이여. 점점 더 멀어져라. 나의 울음과 너의 울음이 다르다. 저녁과 아침 사이 밤이여. 점점 더 캄캄해져라. 나는 남쪽에도 살고 북쪽에도 산다. 꽃 피고 지고. 밤하늘이 바닥까지 내려와 있다. 바닥에 흐르는 은하수. 바닥의 애벌레좌. 얼룩진 한쪽 벽 구석의 거미 좌. 이젠 천천히 기어 너에게 간다. 길의 점막에 달라붙은 꽃잎들. 바닥을 물고 빠는 저 불쌍한 입술들. 벚꽃나무가 핀 너의 가슴은 백야의 시간을 지나는 중이다.

--『연인들은 부지런히 서로를 잊으리라』(2019)

//이 시는 박서영 시인의 유고시집 '연인들은 부지런히 서로를 잊으리라'에 실린 시다. 시제인 '삼월'은 봄의 시작이며 꽃 피는 아름다운 달이다. 하지만 시중화자는 북쪽에 산다고 말한다. 북쪽의 봄은 늦게 온다. 그녀는 자신이 처지를 '내가 사랑한 것들은 왜 그리 짧게 살다 떠나는지'로 설명한다. 그녀 자신이 무척 아프기 때문이다. 그녀는 오래 살고 싶다. 그래서 생일과 기일이 멀어지라고 명령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나의 울음과 너의 울음, 남쪽과 북쪽이 그리고 편히 잠을 잘 수 없는 짦은 밤이 바로 그 은유다.  그런데 가슴에 벗꽃나무가 피었다는 말은 일말의 희망을 가졌다는 말이다. 그녀는 지금 밤이 없는 백야의 시간을 지난다. 쉼이 없는 고난을 의미한다. 삶의 투쟁속에 현실을 비관하면서도 작은 희망 하나를 놓지 않았던 시인의 아픔이 잘 읽혀지는 시다. - 이해우

'시와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의 기도]  (0) 2024.01.06
제야 앞에서/한상수  (0) 2023.12.31
12월 /이해우  (0) 2023.12.27
방황 /이해우  (0) 2023.12.26
헌화가 /신달자 / 해설 이해우  (0) 202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