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기업의 매출증대와 이윤창출 등 경제적 성과만으로는 장기적 생존을 보장받기 어려운 시대가 왔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여부가 국제적표준으로 제정되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하는가 하면 기업의 투자를 결정하는 주요한 기준으로 CSR을 평가하기도 한다. 즉, 이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가 CSR이 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해외 기업들은 물론이고 국내 기업들도 이른 바 경영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그간의 CSR 활동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앞다퉈 발간하고 있다. 지속가능성보고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회책임보고서, 기업시민보고서, 사회공헌 백서, 사회공헌활동보고서 등 명칭은 다양하나, 그 명칭에 상관없이 모두들 보고서 안에 기업 비즈니스와 연계된 똑똑한 전략들을 녹여 그간의 다양한 활동성과들을 그들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 해마다 증가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기업
실제로 아래 표 1에서도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3대 지속가능성 (환경, 사회, 경제) 지표를 포괄하는 통합적 형태의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는 국내기업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표) 연도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국내기업 현황
또한 세계적으로 살펴보아도 많은 기업들이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고 또 작성된 보고서를 GRI에 등록하기도 한다. GRI에서 07년 12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세계적으로 2,671개 기업이 그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등록하였고 국내에서는 08년 기준 57개 기업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회공헌백서도 마찬가지다. 기업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공헌 백서를 제작하고 있으며 해마다 발간기업이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