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치민의 생애와 사상 1
호치민(1890.5.9.-1969.9.2.)은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왜 국부로 칭송받는가? ‘호 아저씨(박호)’라고 불릴 정도로 베트남 국민들은 그를 존경했다. 그가 죽었을 때 전세계 121개국으로부터 22,000건의 조전을 받았고 소박한 생활과 높은 도덕성으로 사상을 떠나 존경을 받은 사람이었다. 그가 남긴 유품은 미화300불, 슬리퍼 한컬레, 목민심서 한권이었다하는데 바딘 광장에 있는 기념관에는 장식과 목민심서가 없다한다. 당시 베트남 당서기장은 “사랑하는 호주석이 돌아가셨다. 이 손실은 참으로 크고 슬품은 애달프다. 베트남 국민은 훌륭한 민족영웅을 가졌으며 전 세계에 베트남인을 빛나는 민족으로 만들었다” 고 칭송했다. 이러한 호지민의 좌우명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변화에 대응한다(지벗비엔 응번비엔)”이었다.
프랑스(디엔비엔푸), 미국(65-73), 중국(1979)등 강대국들이 월남을 함부로 넘보지 못하도록 만든 호치민은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창설자 (1930)이자, 베트민(Viet Minh: 베트민 독립 동맹)의 동맹원(1941), 북베트남 민주공화국 주석(1945~69) 이었다. 호치민은 제2차 세계대전후 아시아의 반식민지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응 우엔 신삭의 아들로 태어나 킴 리엔이라는 마을에서 자랐으며, 14-18세에 후에에 있는 국립학교에 다녔다. 그 뒤 판티에트에서 교사로 지냈고 기술훈련원 견습생이 되었다. 1911년 바(Ba)라는 가명으로 프랑스 기선의 주방보조원으로 3년간 세계를 여행했다.
1915년 런던에서 생활했고 제1차 세계대전 중반에 프랑스로 이동하여 정원사, 청소부, 웨이터 등으로 일했다. 1917년부터 프랑스 체류 6년 동안 가명 구엔아이 쿠옥으로 사회주의 활동을 전개했다. 1919년에는 베르사유 평화회의에 모인 강대국 대표들에게 8개조항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그는 프랑스 식민 정권이 식민지인들에게 통치자들과 동등한 권리를 줄 것을 요구했다. 평화회의 중재자들로부터 답변은 못받았지만 이 일로 베트남인의 영웅이 되었다. 이듬해 러시아 공산혁명과 레닌의 반제국주의 정책에 자극을 받아 1920년에 사회당을 탈당하고 프랑스 공산당에 가담했다. 그 후 라 파리아 잡지에 영불의 식민주의 정책의 해악을 고발했다.
호지민은 1923년말 모스크바로 갔으며 1924년 1월 레닌이 죽자 프라우다지에 고별사를 기고했다. 그해 제5차 코민테른 대회에 참여하여 프랑스 공산당이 식민주의 정책을 치렬하게 반대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대회에 제출한 성명서에 피압박 농민들의 혁명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신념을 표명 했다. 1924 년 12월 호는 광저우로 건너가 베트남 혁명청년회를 조직했다. 이 협회의 회원들은 정치적 신념 때문에 인도차이나에서 추방 되었던 사람들로 프랑스의 지배에 대항하는 투쟁 단체였다.
장개석이 1927년 4월 광저우에서 중국 공산주의자들을 추방 하자 호지민은 소련으로 피신했다가 1928년 브뤼셀과 파리를 거쳐 태국으로 간 후 동남아 국제공산당 대표로 2년을 지냈다. 베트남 혁명청년회 단원들은 1929년 홍콩에 모여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세웠다. 1930년 2월 호치민이 태국에서 돌아온 후 공산당 창당을 주관하여 베트남 공산당이라고 불렀으나 1930년 10월 이후 인도차이나 공산당(PCI)이라고 개칭했다.
호치민은 혁명 활동간 여러 파당 간의 갈등을 중재했다. 그는 신중하고, 분별력이 있었으며, 모스크바를 가까이 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당시 프랑스의 탄압은 잔인했으며 호치민 자신도 혁명분자로 몰려 사형선고를 받을 정도였다. 그는 홍콩 으로 피신했다가 상하이를 거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1935년 제7차 모스크바 국제공산당 대회에 호는 PCI의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이 대회는 호치민의 정책인 인민전선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936년 인도차이나의 공산당원들은 반 식민주의 입장을 완화하여 ‘반 파시즘 식민주의자들’과의 협력을 고려했다.
같은 해에 프랑스 인민전선 정부는 인도차이나 좌파세력들의 활동을 허용했다. 1937년 불룸의 인민전선 정부가 무너지고 인도차이나에 대한 탄압이 되살아났다. 1938년에 호는 중국 으로 돌아가 연안에서 모택동과 2개월 정도 지냈다. 1940년 프랑스가 독일에게 패했을 때 호치민과 보구엔지압은 기회를 이용할 계획을 수립했다. 이때부터 호치민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동지들이 1941년 베트남으로 들어가 베트민을 조직했 다. 이 단체의 결성으로 베트남 민족주의가 다시 강조되었다.
새 기구는 장개석 정부의 도움을 구했지만 장개석은 호치민을 체포했다.
호치민은 중국경찰에 18개월 동안 체포되었다. 기간 중 그는 ‘옥중일기’라는 책을 집필했다. 그는 동료들이 중국 남부 지도자 장발규(張犮奎)와의 타협을 통해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에 반대하고 장의 권익을 지지하겠다는 조건에 동의후 석방되었다. 1945년에 베트남 혁명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을 수 있는 두 가지 사건이 발생했다. 첫째, 일본군이 인도차이나를 완전히 점령한 뒤 전 프랑스 관리를 투옥 또는 처형했다. 둘째, 6개월 후 히로시마에 원자탄이 투하되었다. 베트남 독립동맹과 호치 민의 가장 강력한 적이 무너졌다. 그는 미군과 접촉하여 일본에 대항하는 전략사무국(OSS)과 협력했다. 또한 베트남 독립 동 맹의 게릴라들은 중국 남부 산지에서 싸웠다.
보구엔지압의 요원들로 된 특별부대가 호의 지휘를 받으며 1945년 봄에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로 이동했다. 일본이 연합 군에 항복한 후인 8월19일에 그들은 하노이에 들어갔다. 9월 2일 바딘 광장의 수많은 군중 앞에서 호는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다. 창조주는 우리에게 불가침의 권리와 생명, 자유, 행복을 주었다.” 그러나 베트남 독립동맹의 장애물이 제거된 것은 아니었다. 연합군의 협정 조항에 의해 장개석군이 일본군을 대신하여 16도선 북쪽을 장악했다.
모든 공감:
유정자, 유정자 및 외 30명10
9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질서의 변화와 자본주의의 미래 (21 세기)/ PhD Hugo W.Kim 주제 II. 세계질서의 변화 (0) | 2023.10.07 |
---|---|
자본주의/ :Wax Weber 만화로 설명 (0) | 2023.10.07 |
미국 하버드 대학교가 추천한 '건강 장수법' 6 가지 (0) | 2023.10.05 |
세계질서의 변화와 자본주의의 미래 (21 세기) 주제 II. 세계질서의 변화/PhD Hugo W.Kim (0) | 2023.10.05 |
국제 난초꽃 축제 (0)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