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모금기술

[스크랩] 외국의 자원봉사 활동 사례 - 미국.일본,영국

양곡(陽谷) 2012. 2. 20. 17:26

외국의 자원봉사-미국.일본,영국 사회복지자료

2006/01/02 17:43

http://blog.naver.com/wndtla9/20661162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사례

가. 미  국

(1) 촛불재단

            미국은 1990년대만 해도 국가 및 지역사회 봉사법(National and Community Service Act of 1990)을 제정하여 국민의 자원봉사를 국가의 중요 정책으로 다루었다. 학생들에 대한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프로그램․청소년 봉사단․전국적인 규모의 유급 봉사 모델이 개발되어 이 법에 의해 시행되었다.

 

민간 자원봉사 단체로 1990년에 설립된 촛불재단(Points of Light Foundation)은 ‘보다 많은 사람들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역사회 봉사에 참여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정부와 민간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자원봉사에 대한 공공의 인식 증대를 위한 각종 캠페인과 행사를 수행하는 일, 500개 이상의 자원봉사센터들과 협력하고 지원하여 자원봉사센터들이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에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일, 기업과 정부에 속한 피고용자들의 지역사회 봉사 노력을 장려하고 필요한 훈련 및 기술지원과 정보를 제공하는 일,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는 비영리단체 및 정부기관과 협력하는 일 등이 있다.


  촛불재단은 회장을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고 국회에서 독립적인 예산편성을 받는 정부 출연 기관으로 창립된 후, 미국 전역의 자원봉사센터연합체인 자원봉사(volunteer)와 통합을 하여 민간차원의 전국적인 기구로 성장하였다.

(2) 국가 및 지역사회 봉사지원법

          국가 및 지역사회 봉사지원법(National and Community Service Trust Act of 1993)은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국가봉사단을 설립하기 위해 제정된 법이다.

 

국가봉사단은 1992년 당시 클린턴 대통령 후보가 선거 캠페인으로 공약했다가 당선 직후 만든 것인데 기존의 연방정부 지원 하에 있던 봉사조직들을 통합하였다. 대통령 직속기관이므로 100% 정부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민간지원도 받고 있다.

 

국가 봉사단의 목적은 미국인들이 국가를 위해 지역사회의 봉사에 참여하도록 하여 미국의 교육 및 공공안전과 인간적․환경적 욕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 있다.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시민의 책임을 공유하고, 사람들간의 유대를 강화시키며, 반대급부의 하나로 서비스에 참여하여 헌신하는 젊은이들에게 교육적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3) 미국봉사단 및 평화봉사단

           케네디 대통령은 세계를 향한 봉사와 희생이라는 메시지를 발표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후진국의 경제개발을 도와주고 국제평화에 공헌하기 위하여 ‘뉴 프론티어’정책의 일환으로 1961년 국제적인 봉사단체로 평화봉사단을 창설하였다.

 

또한 개발도상국가에 평화봉사단을 파견하여 문맹퇴치운동과 빈곤의 퇴치 그리고 청소년 활동 등의 사업을 수행하면서 민간차원에서 외교활동을 담당하였다. 이 조직에는 청소년들에게 국가와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초․중․고등학생들을 위한 방과 후 프로그램과 학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대학생의 봉사 프로그램이 있다.


(4) 전국노인봉사단

          전국노인봉사단은 대표적 노인자원봉사 조직의 하나로, 국가가 당면한 긴급한 문제 해결에 47만명 이상의 노인들의 기술과 재능 및 경험을 활용하는 단체이다.

 

노인들은 1,223개의 지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인 자로 1주일에 20시간 이상 봉사하는 위탁조부모 프로그램(Foster Grandparents Program)과 60세 이상인 자의 노인동반 프로그램(Senior Companion Program), 그리고 43만 명에 달하는 55세 이상인 자로 구성된 은퇴자 및 노인 자원봉사자 프로그램(RSVP : Retired and Senior Volunteer Program) 등이 있다.

(5) 기업자원봉사의 활성화

          미국에서는 기업부분에서의 새로운 사회공헌 노력이 두드러지게 성장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기업들의 임원감축(down-sizing)추세가 일어나면서 기업의 전략과 연결된 자선사업이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업의 자원봉사는 기업과 지역사회간에 보다 나은 관계를 형성하고 향상된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 면에서 기업에 막대한 이득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 지역사회 문제에 도움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사회구성원들의 보편적 인식과 공감을 획득하였다.

 

 이는 다시 임직원 자원봉사자의 자기 가치 인식을 증가시키고, 인력관리 측면에서도 자원봉사는 종업원의 기업에 대한 충성심․구성원간의 단결․기업의 대 사회적 영향력 강화 등의 많은 이점이 있다.


나. 일  본

(1) 민생위원제도

          공공주도의 자원봉사는 방면위원에서 민생위원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발달되어 왔다. 즉, 이들은 1936년의 방면위원령에 의한 방면위원이 1948년의 민생위원령에 의한 민생위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공공(법정)자원봉사자로 규정되어 활동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약 20만명에 이르고 있고, 교통비 등의 실비를 활동비로 수령하고 있으며, 도시의 경우 270가구당 1인, 농촌의 경우 120가구당 1명씩 임명되어 있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남자 58.5세, 여자 55.6세로 지역사회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연령대이다.


(2) 일본청소년봉사협회

          1967년에 발족한 일본청소년봉사협회(JYVA : Japan Youth Volunteer Association)는 청년들의 자원봉사를 위한 전국센터의 역할을 할 만큼 폭넓은 활동을 벌이고 있고, 특징적인 프로그램으로 18~30세까지의 청년이 매년 4월부터 1년 동안 집을 떠나 교육․복지․의료 등의 국제협력에 참가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의 청소년 자원봉사 지도자들을 초청하여 매년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사회복지분야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참가하고 있다.

(3) 공동모금회

          일본 각 분야의 자원봉사자를 총괄해서 연말에 벌이고 있는 전국적인 모금운동 조직이다. 이 모금운동은 매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되고 있으며 일왕 및 수상과 장관 그리고 각종 매스컴 단체들이 협조하여 실시하고 있는 전국적인 모금운동이다.

 

 공동모금운동은 어려운 계층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의 자주적 활동으로 민간 사회복지단체의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성하는 전국적인 국민운동이다.


(4)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

          일본 자원봉사활동의 조직은 최근 사회복지협의회 외에도 학교나 기업들이 참여하는 전국 조직체의 결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1994년 5월에 창립된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는 전국적으로 사회복지협의회에 일본 상공회의소․일본노총․전국농협중앙회․YMCA의 청소년 단체 등 41개 단체가 모여 결성한 것이다.

 

‘광역 볼런티어의 범주 연락회의’는 사회복지협의회에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고베지진 당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이 기구는 국민 각 계층의 볼런티어 활동에 대한 관심을 실제 경험으로 연결하기 위해 7~8월을 볼런티어 기간으로 정하고 각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5) 사회복지협의회

          일본에서 자원봉사의 중추 기관 역할을 맡아온 기관은 1951년에 설립된 민간 기관인 사회복지협의회이며, 사회복지협의회 내에 1959년에는 자원봉사연구회가 조직되어 처음에는 ‘선의은행’으로 불리다가 뒤에 ‘자원봉사센터’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후생성이 1973년부터 자원봉사 프로그램 지원비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1975년 협의회의 부설 기관으로 전국자원봉사활동진흥센터를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고, 진흥센터의 역할을 자원봉사센터 기능을 수행하는 지방 사회복지협의회들을 위한 연락, 조정 기관으로 봉사하며, 직원 개발 훈련, 정보 보급, 자원봉사 인식제고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현재 일본 내의 자원봉사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사회복지협의회는 또한 1977년이래 초․중․고등학교들을 ‘자원봉사 협력교’로 지정하여 학생들의 자원봉사 운동을 펴왔으며, ‘복지마을 만들기’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6) 기업의 자원봉사

          일본에서도 1970년대 이후 고도의 경제 성장과 기업 확대에 대한 사회적 반응으로 반기업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일본 경제단체연합(경단련)은 1990년 자원봉사 활동 및 모금활동의 창구가 되는 ‘사회 공헌부’를 개설하였고, 1% 클럽이라 하여 세전 이익(매출액)의 1%와 시간의 1%를 사회봉사 활동에 사용하자는 데 동의하는 기업들의 모임을 이끌고 있다.

 

경단련의 이 1% 나누기 운동에는 개인회원 500명에 참여기업 250개가 가입되어 있다. 아울러 BCC(Better Corporate Citizenship)라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되자는 운동도 이끌고 있다.


(7) 자원봉사 축제

          자원봉사축제는 매년 전국을 순회하면서 열리고 있는데, 사회복지 기관 및 각종 단체, 각종 기업, 학교 등이 연합으로 자원봉사축제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행사를 개최하는데, 행사는 이벤트성의 행사보다는 새로운 기술과 노하우, 체험 등을 배울 수 있는 장을 제공하는 수준에서 준비되었다.

  축제의 주요 내용은 각종 세미나, 심포지엄, 체험담 소개, 전시회, 음식축제, 자원봉사 발언대 등의 약 50여개의 행사가 열린다.


다. 영 국

(1) 자원봉사 행정기관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은 단순히 사회운동의 차원을 넘어 중요 기간산업과 같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한다. 1995년 3월에 영국의 메이저 총리는 국회연설에서 부처별로 자원봉사자들을 의무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도록 지시했는데, 박물관 안내와 장애인 및 환자 간호 등 과거에 공무원 또는 정부 고용인들이 담당했던 업무들을 자원봉사자들에게 맡긴다는 것이다.

 

정부기관으로는 내무부에 자원봉사과(voluntary services unit)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부차원의 자원봉사 업무를 담당하는 이 부서는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자원봉사활동을 발전시키기 위한 각종 정책수립 및 이에 필요한 예산을 배분하는 일을 맡고 있다.



(2) 영국자원봉사센터

          영국 자원봉사센터(Volunteer Center UR)는 영국의 대표적인 자원봉사 단체로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80% 받고 있으며, 전국에 250개의 산하단체가 있다. 1973년에 설립된 후 자원봉사가 영국인들의 삶의 한 중요한 측면이며 강력하고 지속적인 변화의 힘임을 널리 인식시키고 있다.

 

영국 내의 자원봉사활동을 전국적인 차원에서 지원해 주고 있으며, 대정부 로비활동․학술연구․활동개발․전문서적 발간․자조집단 육성․홍보간행물 발간으로 서비스 통합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3) 찰스 황태자 기업지도자포럼

          영국 기업들의 사회봉사는 찰스 황태자의 지도력에 힘입어 영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찰스 황태자는 지구환경과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의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훌륭한 기업가 정신을 진작시키기 위해 1990년에 미국의 찰스톤(Charleston)에서 찰스 황태자 기업지도자포럼(Prince of Wales Business Leaders Forum)을 창설하였다.

 

이 포럼에는 미국의 코카콜라, 3M, 독일의 BMW, 영국의 석유회사 등을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약 330개의 그룹들이 참여하고 있고, 연간 수입은 1,800만 파운드에 이른다. 포럼은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중앙유럽․아시아․아프리카․중동․라틴아메리카 등에서 지역사회를 돕는 활동을 벌여 왔으며 5년간 5,000개가 넘는 각  기업들이 개발의 파트너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지역사회를 돕는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다.


(4) 전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전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National Council for Voluntary Organization)는 대부분 자조단체인 400개 이상의 봉사기관들이 가입해 왔다. 이 단체는 1986년 자선모금의 부정에 대한 예방 대안의 하나로 허위자선과 부정직한 모금 행위자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선위원회(charity commission)에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1990년에는 효과성과 민간부문(effectiveness and voluntary sector)을 출간하였고, 민간단체 활동의 효과성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다른 유인책을 검토하였다.

출처 : 육상건조의 알파와 오메가
글쓴이 : 그린고래_윤기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