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억원 넘는 연봉을 받은 근로자가 27만9000명에 달했다. 기부에는 억대 연봉자보다 4000만~1억원을 버는 중산층이 더 적극적이었다.
국세청이 22일 낸 ‘2011년판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총급여액이 1억원을 넘은 근로자는 전년(19만6000명)에 비해 42.3% 급증했다. 전체 근로자(1514만 명) 중 억대 연봉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1.4%에서 1.8%로 높아졌다. 억대 연봉자가 많이 일하는 업종은 제조업(32.6%), 금융·보험(21.1%), 서비스업(14.6%) 순으로 나타났다.
연봉이 높다고 기부금을 많이 내는 건 아니었다. 소득금액에서 기부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건 8000만~1억원 소득자(2.08%)였다. 그 다음은 4000만~8000만원(2.02%), 1억~5억원(1.92%), 5억원 초과 소득자(1.62%) 순이었다. 국세청 관계자는 “소득금액 4000만~1억원이 전체 기부금 신고자의 30.8%를 차지할 정도로 기부활동이 가장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50대 이상의 자영업 진출이 늘면서 종합소득세 신고자도 늘었다. 2007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50대 이상의 비율은 32.7%에 그쳤지만 지난해엔 37.2%로 높아졌다.
![](http://images.joinsmsn.com/ui_joins/news10/common/t_ad.gif)
전문직 사업자 중 가장 돈을 잘 버는 직업은 변리사로 나타났다. 변리사의 1인당 연간 평균 매출액(과표기준)은 6억1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변호사(4억2300만원), 관세사(3억3900만원), 공인회계사(2억9100만원)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국세청이 지난해 거둔 세입은 166조원으로 전년보다 11조7000억원 늘었다. 1966년 700억원과 비교하면 2372배로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세금을 거둔 세무서는 12조3402억원을 거둔 영등포세무서였다. 증권사 등 금융회사가 여의도에 밀집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005년 이후 쭉 선두자리를 지켰던 남대문세무서(11조1000억원)는 2위로 밀려났다.
한애란 기자
국세청이 22일 낸 ‘2011년판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총급여액이 1억원을 넘은 근로자는 전년(19만6000명)에 비해 42.3% 급증했다. 전체 근로자(1514만 명) 중 억대 연봉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1.4%에서 1.8%로 높아졌다. 억대 연봉자가 많이 일하는 업종은 제조업(32.6%), 금융·보험(21.1%), 서비스업(14.6%) 순으로 나타났다.
연봉이 높다고 기부금을 많이 내는 건 아니었다. 소득금액에서 기부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건 8000만~1억원 소득자(2.08%)였다. 그 다음은 4000만~8000만원(2.02%), 1억~5억원(1.92%), 5억원 초과 소득자(1.62%) 순이었다. 국세청 관계자는 “소득금액 4000만~1억원이 전체 기부금 신고자의 30.8%를 차지할 정도로 기부활동이 가장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50대 이상의 자영업 진출이 늘면서 종합소득세 신고자도 늘었다. 2007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50대 이상의 비율은 32.7%에 그쳤지만 지난해엔 37.2%로 높아졌다.
![](http://images.joinsmsn.com/ui_joins/news10/common/t_ad.gif)
국세청이 지난해 거둔 세입은 166조원으로 전년보다 11조7000억원 늘었다. 1966년 700억원과 비교하면 2372배로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세금을 거둔 세무서는 12조3402억원을 거둔 영등포세무서였다. 증권사 등 금융회사가 여의도에 밀집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005년 이후 쭉 선두자리를 지켰던 남대문세무서(11조1000억원)는 2위로 밀려났다.
한애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