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에 2학년생들이었던 전도유망한 미국 하버드 대학생 268명의 일생을 72년간에 걸쳐 추적한 연구결과가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고 권위 있는 평론지 가운데 하나인 시사월간지 ‘애틀랜틱 먼슬리’(Atlantic Monthly)에 공개된바 있다.
하버드대학 생리학ㆍ약학ㆍ인류학ㆍ심리학 분야의 최고 두뇌들이 연구진으로 동원되었고 하버드 의대 베일런트(Vaillant) 교수가 주도했다.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백화점 재벌 W T 그랜트(Grant)의 이름을 따 ‘그랜트 연구’라고도 불린다.
이 연구는 ‘잘 사는 삶에 일정한 공식이 있을까’라는 기본적인 의문에서 출발했다.
먼저 연구대상이 된 남학생 268명은 수재 중에서도 가장 똑똑하고 야심만만하고 환경에 적응을 잘하는 이들이었다. 최고 엘리트답게 그들의 출발은 상쾌했다.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한 사람이 4명, 유명한 소설가도 있으며 대통령이 된 존 F 케네디(Kennedy), 워싱턴포스트 편집인으로서 닉슨의 워터게이트사건 보도를 총괄 지휘했던 벤 브래들리(Bradlee, 현재 부사장)도 끼어 있었다.
연구가 시작된 지 10년이 지난 1948년 즈음부터 그들 가운데 20명이 심각한 정신질환을 호소했고 50세가 될 무렵엔 약 3분의 1이 한때 정신질환을 앓았다. 그러므로 “하버드 엘리트라는 껍데기 아래엔 고통 받는 심장이 있었다”고 이 잡지는 표현했다.
또한 연구진은 하버드대 생뿐만 아니라 평범한 남성 456명과 천재 여성 90명의 삶을 수십 년간 함께 추적했다. 총 814명의 삶을 어린 시절부터 죽을 때까지 전 과정을 지켜보며 만족스러운 삶 또는 그렇지 못한 삶에 이르는 원인을 통찰했다.
연구에서는 행복하게 늙어가는 데 필요한 7가지 요소로는 고통에 적응하는 성숙한 자세, 교육, 안정적 결혼, 금연, 금주, 운동, 적당한 체중으로 정리되었다. 또한 연구결과 47세 무렵까지 형성돼 있는 인간관계가 이후 생애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베일런트(Vaillant) 교수는 “어떠한 데이터로도 밝혀낼 수 없는 극적인 주파수를 발산하는 것이 삶”이라며 “과학으로 판단하기에는 너무나 인간적이고, 숫자로 말하기엔 너무나 아름답고, 학술지에만 실리기에는 영원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관계이며, 행복은 결국 사랑” 이라고 결론지으며, “평범해 보이는 사람이 가장 안정적인 성공을 이뤘다”고 하였다.
진정한 인생의 행복은 좋은 대학이나 명예나 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곁에 얼마나 좋은 사람들이 있느냐는 것이다.
그렇다! 행복은 성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에서 창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