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론

-Seoul Standard 2012-2018

양곡(陽谷) 2011. 10. 21. 09:16

원순씨가 약속하는 변화와 희망

'서울시민복지기준'

 

 

Seoul Standard 2012-2018

 

'인간다운 생활, 안정된 삶이 실현되는 사람도시 서울

 

토건행정을 넘어 사람에게 투자하는 서울

공공복지와 삶의 질 중심의 새로운 도시행정

서울 시민이면 누구나 누려야 할 삶의 기준

 

서울의 변화와 희망을 만듭니다!

 

 

 

 

 

서울시장 야권단일후보

박 원 순

 

서울시민복지기준

Seoul Standard 2012-2018

 

 

 

VISION

 

인간다운 생활, 안정된 삶이 실현되는 사람도시 서울

 

 

 

GOAL

 

서울시민 누구에게나 적정 수준의 복지와 삶의 질 보장

 

 

 

MISSION

 

사람에 대한 투자를 중심에 놓는 서울시정

세계 20위권 도시경제에 걸맞은 선진 복지행정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반한 도시 경쟁력

 

 

 

STRATEGY

 

사회적 합의를 통한 시민복지기준 수립, 이행

각 자치구별 복지 격차 해소 전략, 계획 수립

중앙정부 자치구와의 전략적 협의와 협력 추진

시민복지기준에 부합하는 복지친화형 법령예산 재정비

 

 

 

PLAN

 

시민복지기준 추진기구 구성

서울시민 삶의 질실태조사, 지표 및 정책 개발

시민복지최저선 확정 및 계획 수립(1단계 사회적 합의)

시민복지적정선 확정 및 계획 수립(2단계 사회적 합의)

당해 연도 이행점검 및 평가결과 공표

. 비전과 목표/VISION&GOAL

 

인간다운 생활, 안정된 삶의 사람도시

누구나 적정수준의 복지와 삶의 질 보장

 

시민복지기준은 현대 도시생활의 표준을 제공하는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시민이 일상에서 누려야 하는 생활의 기본수준을 의미함

 

시민복지기준사상은 현대 복지국가와 대도시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기준으로 역사적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

 

*모든 국민에게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국민생활최저선’(National Minimum)은 현대 복지국가의 초석을 놓은 1942년 베버리지보고서의 핵심 사상. 영국은 이를 채택하고 제도를 개혁함으로써 복지국가로 나아갔음

 

*1969년 미노베(美濃部) 동경 도시자는 동경도 예산편성시 그간의 건물, 토건 위주 양적 발전을 반성하고 시민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 개념을 사용함

 

*영국 리즈시는 최근 리즈 이니셔티브라는 민관전략협력기구를 통해 보건과 복지, 주거와 재개발, 지속가능한 경제와 문화, 아동, 안전하고 강력한 지역사회 등에 관한 목표설정과 지표화를 통해 리즈의 중기전략(리즈 2015)과 장기비전(리즈 2030)을 수립, 수행하고 있음

 

서울시는 이명박, 오세훈 전임 시장 10년 동안 전시성 토건행정에 몰두한 반면, 사람에 대한 투자,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일상생활영역에 대한 투자는 매우 소홀하였음(재정자립도 전국 1but 복지예산 비율은 전국 광역단체 중 13)

 

시민복지기준’(Seoul Standard 2012-2018)을 새로운 시정 목표로 제시하고, 사람에 대한 투자에 집중함으로써 서울시민 누구나 누려야 할 생활의 수준과 미래 지향적 삶의 질을 보장할 것임

 

교육, 주거, 의료, 보육, 여가 등 일생 생활영역에서 시민이 마땅히 누려할 삶의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에 미달하는 영역에는 과감한 투자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겠음

 

인간다운 생활, 안정된 삶이 실현되는 사람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시민 누구에게나 적정수준의 복지를 제공하고 사람에 대한 투자를 중심에 놓는 시정을 펼치겠음

. 사명/MISSION

 

 

사람에 투자하는 서울시정

경제수준에 맞는 선진 복지행정

삶의 질 기반 새로운 도시 경쟁력

 

서울은 경제규모(GDP)면에서 세계 20위권의 경제대도시

- 2009.11, 세계최대 전문서비스사인 PwC(PricewaterhouseCoopers)조사 세계 도시 GDP 순 위’, 서울 세계 21(*참고자료 1 참조)

 

그러나 삶의 질의 지표를 통해서 보면, 외형상의 경제규모와 전혀 다른 결과

- 2011. 8. 영국 BBC 평가 살기 좋은 도시 순위(안정성, 의료시설, 문화와 환경, 교육,

기간시설 등 5개 분야 평가), 평가대상 세계 140개 도시 중 서울 58(*참고자료 2 참조)

 

삶의 질을 포함 도시경쟁력은 개발도상국 도시수준을 벗어나지 못함

- 2009. 세계적 인력컨설팅사인 Mercer Human Resource Consulting ‘종합 도시평가’(삶의 질 기준 포함), 서울 도시경쟁력 세계 83(*참고자료 3 참조)

 

사람과 복지에 투자하지 않고 외형에 치중한 후진적 행정의 결과. 지난 10년간 이명박, 오세훈의 전시성 토건행정이 낳은 폐해

- 복지예산 비중 21.4%(전국 16개 시도 중 13) *참고자료 4 참조

- 빈곤율 13.7%(시도평균 이하 but 선진국 기준 보다 크게 높은 수준) *참고자료 5 참조

- 노인 1천 명당 시설 수 3.8(16개 시도중 최하위권) *참고자료 6 참조

 

경제수준에 맞는 선진복지행정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선진국형 도시경쟁력을 만들어야 할 시점. ‘시민복지기준’(Seoul Standard 2012-2018)사람에게 투자하는 새로운 서울 시정의 사명

 

 

III. 4대 중점전략/4 STRATEGIC PILLAR

 

 

시민복지기준 4대 추진전략

 

 

 

 

시민참여 사회적 합의

 

자치구간 복지격차 해소

 

 

정부자치구 전략적 협력

 

복지친화형 법령예산정비

 

 

 

1. 시민참여 사회적 합의

관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기준이 아닌 민-관 협력과 소통을 통해 추진

권리로서의 복지 실천, 정치상황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 목표와 기준제시

시민의 의견청취와 정책결정 참여를 보장하는 사회적 합의기구로 서울복지기준설정위원회’(가칭) 구성

 

2. 자치구간 복지격차 해소

자치구별 재정격차에 따른 복지 격차는 균형적인 삶의 질 보장의 걸림돌

자치구별 복지격차 해소 중장기 계획 수립, 이행

삶의 질 균형 인지 예산운영 - 조정교부금 배분운영개선, 특별사업비 마련

 

3. 정부자치구 전략적 협의와 협력

시민복지기준의 성공적 이행, 정착을 위한 정부, 자치구와 전략적 협의 추진

보건복지 관련 법령 개정 및 예산 배분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개진과 협의

시민복지기준사회적 합의기구에 복지부등 중앙부처 참여, 참관 추진

 

4. 복지친화형 법령예산 정비

시민복지기준에 부합하는 방향, 복지친화형으로 각종 법령 및 조례 정비

공공복지 예산의 단계적 확대, 201121.4%->201430%(매년 3% 확대)

국고보조사업 확대에 따른 복지예산 자연증가분 만이 아닌 서울시의 재량적 복지지출의 실질적 확대

IV. 추진계획/PLAN

 

1. ‘시민복지기준 설정 위원회’(가칭) 구성, 운영

시민욕구조사, 정책개발, 이행감시, 평가를 담당하는 시민참여 및 사회적 합의기구

시장, 시의회의장, 민간 공동위원장 체제로 구성, 각계 시민대표, 전문가 참여보장

시민복지기준위원회 산하에 각 영역별 분과위원회(주거, 교육, 의료 등) 구성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복지재단 등의 지원, 협력

 

2. 시민복지최저선(civil minimum level) 선정 및 이행

소득이나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시민이면 누구나 누려야 할 최소한의 복지 기준선

주거, 교육, 의료, 보육, 소득보장 등 생활영역의 최저선 정해 우선적으로 재원 투입

시장 재임기간 중 최저선 확정하고 이행완료 (시민복지기준 1단계 이행)

분기별 이행점검, 평가 공청회 개최, 매년 이행보고서 발간

 

3. 시민복지적정선(civil optimum level) 제시

사회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질 높은 복지수요를 예측, 반영한 적정 수준의 복지기준

보육 등 복지의 양보다 질이 중요한 영역에는 적정선 기준 적극적용 (시민복지기준 2단계 이행)

미래지향적인 복지적정선설계로 후퇴하지 않는 서울 시민의 '삶의 질' 좌표 제시

 

시민복지기준

(Seoul Standard)

2012-2018

 

이행점검 및 평가결과 공표

 

 

시민복지적정선

(civil optimum level)

미래지향적인 삶의 질 기준

더 높은 복지수요에 부응

(2012-2018)

 

 

시민복지최저선

(civil minimum level)

시민이 누려야 할 최소기준

즉시 재원투입/ 임기중 완성 (2012-2014)

 

 

 

시민복지기준에 관한 사회적 합의

V. 시민복지기준 내용/CONTENTS

 

5대 생활영역별 시민복지기준

 

영역

시민복지최저선

(2012-2014)

시민복지적정선(2012-2018

주거

집 걱정 없이 안정된 삶의 터전을 누리는 서울

서민 주거보호-최저주거기준 확립

- 다양한 유형의 공공임대주택 8만호 신규공급

- 주거비보조제(주택바우처)확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차차상위계층

소득하위 70%가구중 주거비 과부담가구

- 소형 장기전세주택 공급확대

- 최저주거기준 조례제정 및 서울시 주택공급 시 적용

 

주거공공성실현-적정주거기준 확립

- 전체 가구기준 10% 수준으로 공공주택 확보

- 지역별 공정임대료제(fail rental system) 도입으로 임차인 보호

- 문화, 환경, 안전 기준 강화한 선진국형

적정주거기준 확립

 

 

 

소득

가난의 두려움 없이 삶의 목표를 가질 수 있는 서울

최저소득 지원-빈곤으로부터 탈출

- 비수급 빈곤층의 생계지원 및 교육, 주거, 의료, 복지서비스 지원

- 서울 빈곤선 설정 및 단계적 빈곤 감축

목표와 계획 수립

 

적정소득 보장-선진국형 빈곤관리

- 서울형 소득보장 시스템 도입

(아동수당+출산수당+기타)

- OECD 수준에 근접한 가구 빈곤율 관리

한국 15%/서울14%/ 0ECD10% 내외

(*중앙정부와 협력)

보육

모든 아이는 모두의 아이함께 키우는 서울

안심하고 맡기는 보육

- 동별 2개 이상으로 공립보육시설 확충 (2011643->2014930개 이상)

- 국공립보육시설 설치 조례 제정

- 민간시설의 질 향상 유도 및 공공형 어린이집으로 전환확대

일 가정 양립-질 높은 선진보육

-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종합지원 대책수립

- 가족 친화적 기업 인센티브도입 등 정책지원

- 파파쿼터제 등 선진국형 육아휴직제 도입 추진(*중앙정부/ 국회와 협력)

 

 

영역

시민복지최저선

(2012-2014)

시민복지적정선

(2012-2018)

교육

경쟁과 차별을 넘어 창조적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

가계 교육비 부담완화-교육격차 완화

- 중학교까지 전면 친환경 무상급식

- 방과후 학교 내실화 지원 확대(우수교사 공영제 도입/ 3만개 수준->12만개로

방과후 프로그램 다양화)

- 초등 돌봄교실 확대/ 토요 휴일교실 운영

- 교육격차해소 및 교육복지 확대를 위한 조례제정

교육복지 확대-보편적 학습권 실현

- 교육비 가계부담 3%이내 완화 목표(현재 7% 내외) 서울형 종합교육복지모델 설계

- 서울교육복지협의체구성(,의회,,교육청)

- 학습권 조례제정 (복지, 건강, 안전, 환경,

문화와 인성 등 학생의 제 권리 보장)

 

 

의료

아파도 치료받지 못하는 사람 없는, 모두가 건강을 누리는 서울

보편적 의료접근성 확대

- 주민이 참여하는 건강마을 만들기지원

- 건강관리방문간호사 증원(구보건소별 10명 수준->2014년까지 현행 2배로 증원)

- 도시보건지소확대(서울 전역 4개소->20

14년까지 각 구별 취약지역 중심으로 1개소 우선 확충))

- 서울시 공공병원, 보호자 없는 병원지정

- 각 구별 1개의 야간-휴일 클리닉개소

 

예방으로서의 의료-건강불평등 해소

- 일상적 건강관리체계 구축, 예방으로서의

의료실현

- 도시보건지소(자치구당 2개소 이상으로 확충)/ 궁극적으로 인구 5만명당 1개소

- 건강관리방문간호사(인구 5천 명당 1)

- 지역주치의(‘마을 주치의’ ‘학교주치의’)도입

- 지역, 계층 간 건강 격차 모니터링 및 불평등 해소를 위한 대책수립 및 지원

 

 

 

 

 

 

 

 

 

 

5대 주요 정책대상별 시민복지기준 내용

 

대상

시민복지기본선

(2012-2014)

시민복지적정선

(2012-2018)

여성

여성의 권리와 적극적 참여가 실현되는 성평등 도시 서울

출산과 양육의 권리 보호

- 여성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지원

- 출산, 양육 경력단절 여성 취업 지원

- ‘직장맘 지원센터설립(상담지원, 정보제공)

여성 경제활동 촉진 및 노동권 보호

- -가정 양립을 위한 종합지원대책 수립

- 여성 경제활동 참여율 관리 및 제고 노력

- 임금, 근로조건 등 제반 차별 시정

- 질 좋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아동

모든 아이는 모두의 아이아이들에게 투자하는 미래도시 서울

아동에 대한 보호와 지원

- 아동 건강보호(전면 무상 예방접종, 치과주치의제도)

- 방과 후 아동 돌봄서비스 확대

- 아동폭력 및 학대 예방, 대응(종합예방지원센터)

 

보편적 아동복지와 아동권리 기준마련

- 지역 내 아동서비스 종합지원체계 구축

- 아동수당제도 도입(취학전 저소득층 아

동부터 단계적 도입/ 중앙정부와 협의)

- 국제기준(UN 아동권 조약, 91년 비준) 및 국내법령(아동복지법)에 근거한 아동권기본조례(가칭) 제정

노인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가 있는 고령친화도시 서울

노인 소득, 건강, 주거 지원

- 노인 일자리 확충 및 취업지원

- 독거노인, 재가환자 의료서비스 확대

- 구별 1개 이상 노인요양시설 설립

- 고령자 전용 임대주택 공급 확대

 

 

고령 친화 정책 및 도시환경 조성

- 국가/ 지자체차원 노인 빈곤율 감축 목표와 계획 수립(*중앙정부 협력)

- 서울시 공공부문 노인일자리 개발, 일정비율 이상 고용 의무화

- 노인 건강, 요양, 생활, 여가, 편의 시설 및 서비스의 대폭 확충

 

 

 

 

 

 

계층

시민복지최저선

(2012-2014)

시민복지적정선

(2012-2018)

청년

청년의 자기실현이 보장되는 청년 활력도시 서울

학업, 주거, 일자리 지원

- 서울시립대부터 반값 등록금 실현

- 학자금 이자지원조례 제정

- 공공원룸텔, ‘희망하우징공급확대

- 청년창업지원; 기금조성 및 청년벤처 1만개조성

- 공공부문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

청년들의 일할 권리의 보장

- 서울시 공공부문부터 청년일자리 확대,

의무고용비율 지정, 준수

- 청년고용 기업 인센티브제 도입, 확대

(*중앙정부 협력)

- 청년창업 지원기금 및 지원 사업 확대

- 청년 맞춤형 사회적 일자리 개발

장애인

장애가 차별이 되지 않는 인권도시 서울

자립 생활지원 및 이동권 보장

- 장애인 활동지원(보조) 서비스 확대

- 시설퇴소 장애인 자립정착금 확대 및

특별주택, 전세주택 우선 공급

- 장애인 콜택시와 저상버스 단계적 확대 (저상버스 24.2%->201440%)

차별 없는 장애인 자립 도시 구현

- 장애인 차별금지와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의 확대, 강화

- 선진 도시 수준의 이동권, 편의시설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