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과목의 상세 목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과학과 조사연구방법
1) 과학의 의의, 과학적 지식 및 방법 2) 사회조사방법의 중요성, 한계성, 윤리성
2. 사회조사방법의 기본 개념
1) 변수, 개념, 조작적 정의 2) 가설, 이론
3. 사회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
1) 사회조사방법의 형태 2) 사회조사방법의 절차
4. 척도구성
1) 척도구성의 기본요건, 분류기준 2) 유형별 척도구성 절차
5. 질문지 작성
1) 질문지 작성의 중요성 2) 질문지 작성 절차
6. 신뢰도와 타당도
1) 신뢰도의 의의 및 측정방법 2) 타당도의 의의 및 측정방법
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신뢰도와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표본추출
1) 표본추출의 의의 및 바람직한 표본의 요건
2) 표본추출(확률 및 비확률 표본추출) 방법 3) 표본의 크기
8. 실험
1) 인과관계와 관련된 개념 2) 내적 타당도 및 외적 타당도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선정 4) 실험설계 유형(단일사례설계, 준실험설계, 실험설계)
9. 질문지조사 및 면접조사
1) 질문지조사의 의의, 장단점, 자료수집방법의 유형
2) 면접조사의 의의, 장단점, 종류, 절차
10. 관찰 및 내용분석
1) 관찰의 의의, 장단점, 종류, 절차
2) 내용분석의 의의, 장단점, 단위와 카데고리, 절차
11. 욕구조사
1) 욕구조사의 의의, 필요성, 욕구의 식별 및 분류
2) 욕구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3) 자료수집 방법
12. 평가조사
1) 평가조사의 의의, 목적, 종류 2) 평가조사의 절차
13. 질적연구의 설계 및 연구전통
1) 질적연구의 의의, 장단점, 설계 2) 질적연구전통
14. 질적연구의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1) 질적연구의 자료수집 2) 질적연구의 자료분석
15. 조사보고서 작성
1) 조사보고서의 양식과 문제 2) 조사보고서의 형식과 내용
[2008년 강의에서 정리된 내용]
사회복지 조사론의 시험문제는 작년이나 올해나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조사론은 어떻게 조사하며, 어떻게 보고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복지는 처음 1860년대만 해도 가난한 이유를 단순히 게을러서 라고 단정지었으나.다른 이유는 없을까? 다른 조사방법은 없을까? 라는 물음에서 시작 절대적 빈곤을? 조사 가난의 이유를 게으른사람, 노동능력이 없는 사람 외에 일을 하지만 임금이 낮은 사람 (저임금), 식구가 많은 집, 계절적인 요인으로도 보았다.
사회복지 정책파트의 기초가 되는 것이 조사론이다.
조사는 과학적인 접근이다.
과학적인 접근은 ‘관찰’ 과 ‘비교’로 나누어지며 조사론의 많은 내용이 비교와 관찰로 이루어져 있다.
우석대사회복지학부 학생들의 바라는 진로는?
1000명의 사회복지학부 학생을 모두 조사하면 그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000명을 모두 조사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표본조사를 한다.
샘플링은 통계적기법과 비통계적 기법(임의/ 유의)로 하는 방법이 있다.
통계적 기법은 과학적 방법으로 확률에 맞게 설정하는 것인데
엄격한 통계적 기법은 돈과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이 문제이다.
비통계적 기법은 임의로 조사하는 것으로 이는 표본의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확하다.
임의로 할 경우 조사의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 설문지를 학교 임원에게 맡겼을 때 친한 사람에게만 설문을 실시하는 경우
표본조사는
모집단의 성격을 최대한 반영한 것이어야 한다.
조사는 인터뷰, 설문지, 관찰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방법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설문지 만드는 방법
- 남들이 했던 기존 것들을 참고
- 문헌분석
- 참여관찰
- 인터뷰
→ 이렇게 나온 것 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만들고 조사→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 조사론에서 반드시 공부해야 할 부분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
과학적 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샘플링 이다.
통계적 기법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도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유의표집이 필요하다.
어떤 척도를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 명목/- 서열/- 등간/- 비율의 특징을 반드시 공부하기 바란다.
어떤 척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사내용이 달라진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비율이 7%내외라고 했을 때
7%가 치매다 라고 하는 것이 실감이 나지 않는데
65세 집단조사해보니 2%
70세 집단조사해보니 7%
75세 집단조사해보니 25%
80세 집단조사해보니 40%
85세 집단조사해보니 45%
90세 집단조사해보니 60%
이렇게 분석하는 것이 더 과학적이다.
사회복지의 많은 일들은 과학적으로 하는 것이 쉽지 않다.
비율척도는 절대 0점이 있어야 한다.
조사 다음에는 편집→코딩→자료처리순으로 하는데
편집은 불필요한 것들을 삭제하고 코딩을 모든 것을 수치화하며,
자료처리는 단순집계을 기본으로 하고
그 필요에 따라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 인과관계분석 등을 한다.
각종 조사기법의 방법과 특징, 장단점을 살펴보기 바란다.
예) 우편조사는 수집률이 낮고 광범위하다. 회수율에 있어서는 소속감이 중요하다
신뢰도와 타당도는 반드시 또 나온다.
신뢰도는 한 번 더 조사해도 그리한 결과 나오는 것이다.
타당도는 조사목적에 맞게 조사한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외워야 될 것들
교차분석, 상관분석, T 분석(두집단간의 차이)
나머지 내용은 교재를 보면서 중요한 것을 점검하기 바란다.
<2007년 강의내용>
* 우리가 하는 조사의 대부분은 양적 조사이다.
예: 시민에게 광주대학교 하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라고 질문했을때의 답변은
밤 야경 건물, 사회복지학과 등등의 반응이 나온다.
그럼 1) 건물 야경, 2) 사회복지학부/학과, 3) 건물의 외관, 4) 잔디운동장, 5) 우수한 교수진
등과 같이 수치화를 하는 것이다.
양적조사는 수치로 나타낼 수 있고,
질적조사는 의견이나 사실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다
* 양적조사는 무엇이며, 어떻게 다루느냐가 관건이다.
* 사회복지를 과학적으로해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 제정당시 "왜 가난한가?"에 대한 조사를 할 때
노동능력이 없다, 게으르다 등등의 다수의 의견을 통해
노동능력이 없는 빈민은 구빈원에 보내고
노동능력이 있는 빈민은 노역장으로 보냈다.
그런데, 19세에 도시 빈민을 조사한 결과
일할 능력이 있지만 일자리가 없어서 가난한 사람
계절적으로 가난한 사람
열심히 일해도 임금이 낮아서
가족이 많아서 가난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공공근로, 최저임금제, 가족수당 등이 생겨났다.
* 그러므로 조사에 의해서 원인이 다르므로, 각각의 해결방법이 나온다.
* 연구를 할 때 대부분의 연구방법은 관찰과 비교이다!
* 관찰에 근거하여 비교를 한다.
예) 오늘 날씨는 작년에 비해서 더운가?(시간적 비교)
미국의 주가가 올라서 한국의 주가가 올랐다. (지역간 비교)
*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가난한 사람은 몇명인인가? -- 빈민을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민기초생활 수급자의 수 ( 가난한 사람들을 어떠한 기준으로 나누는가에 따라 다르다. )
를 빈민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증명: 가설이 필요! = 가설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중요
*조작적으로 어떻게 정의 하느냐!
조작적 정의 - 왜곡될 수도 있다.
*척도- 중요
명목-서열-등간- 비율 (비율척도가 가장 고급 척도이다 )
* 척도는 다른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해야 하며,
비율척도는 사회복지에서 잘 사용되기 어렵다.
* 질문지 작성
*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 시험마다 출제되는 문제이다.
신뢰도: 다시 조사해도 그 결과가 나올 것인가?
타당도: 그 조사가 타당한 조사인가?
과거의 연구분석이나, 전문가에게 질문지를 의뢰한다. 타당한 것인지..
*표본추출: 전체를 대표하는 표본을 찾는데 주력하고,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다.
어떻게 하면 모집단의 특징을 잘 반영할 것인가?
단순무작취 추출 - 잘 사용되지 않는다. 비용의 문제 등으로
사회복지조사론에서 배우는 내용의 대부분은 [양적 조사]를 어떻게 하면 과학적으로 설계할 것인지이고......뒷부분에 질적 조사에 대해서도 약간
'사회복지조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문지 작성 -1 (0) | 2011.05.20 |
---|---|
난수표이용 무작위표집, 단일사례연구, 지식습득의 오류 등 (0) | 2011.05.20 |
[스크랩] 조작적 정의 (0) | 2011.04.25 |
[스크랩] 강의 참고자료 7 가지 (0) | 2011.04.03 |
[스크랩] 연역법 ? 귀납법?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