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지우(56) 시인의 다른 시 '손을 씻는다'를 함께 읽는다.
"하루를 나갔다 오면
하루를 저질렀다는 생각이 든다
내심으로는 내키지 않는 그 자와도
흔쾌하게 악수를 했다
이 손으로
만져서는 안 될 것들을
스스럼없이 만졌다"
라고 표현했듯이 사람은 한 점 오점 없이 살 수는 없다.
저질러가면서 우리는 산다.
좌충우돌하면서 난동을 부리면서. 그러나 우리가,
우리의 시대가 진화해가는 것은 우리가 내부적으로 가진 자기 반성과
좀 더 나아지려는 희망의 추구 같은 것 때문이다.
이 시는 솔직하다.
나무는 꼭 나무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헐벗고 무방비이고, 때로는 벌 받고, 긴가민가 하는 사람으로 읽어도 좋다.
그러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라고 중얼중얼할 줄은 아는 사람이다.
아주 숙맥이거나 속물적이지는 않아서
현재의 환멸을 볼 줄은 아는, 앙가슴이 뛰는 그런 사람.
바깥 세상이 영하인지 영상인지 구별할 줄 알아
드디어 버틸 줄도 거부할 줄도 알게 된 사람.
마침내 싹도 잎도 틔우면서 불쑥 기립하여 봄의 나무가 된 사람.
자력의 운동성을 가진, 스스로를 혁명하는 사람.
자기 몸을 쳐서 바다를 건너가는 새 같은 사람.
의지의 사람… 우리는 이런 봄나무를 기다리는 것 아닌가.
황지우 시인은 1980년대를 날카로운 풍자로 노래했다.
그는 1980년대의 독재와 살해와 검열에 맞선 '시의 시국사범'이었다.
1980년대의 시대적 상황에 대해 "시대가 우리를 건드렸다"고 표현했는데,
그의 시는 권력의 중증(重症)을 처절하게 해체하려한 양심이었다.
설령 그가 시 '뼈아픈 후회'에서
"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폐허다
(…)
아무도 사랑해본 적이 없다는 거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이 세상을 지나가면서
내 뼈아픈 후회는 바로 그거다
그 누구를 위해 그 누구를
한번도 사랑하지 않았다는 거"
라면서 그의 지나온 삶의 궤적을 돌아보고 있지만,
이 혹독한 자기 검열의 고백이 황지우 시의 미덕이라는 것을 우리는 안다.
시대와의 불화와 선적(禪的)인 기개를 넘나드는 그의 시는 한국시사에서
푸릇푸릇한 '방풍(防風)의 대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