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그라프에는 주제가 있다. 각 패러그래프가 잘 전개되어야 에세이 전체가 좋은 컴포지션이 된다.
하나의 주제가 끝나면 새로운 패러그래 프로 글을 이어 나간다. 패러그래프가 분명해야 컴포지션도 분명해진다.
2. 현재형과 현재진행형은 뜻이 다르다.
현재형은 습관적으로 하는 일이나 동작을 나타내며, 현재 진행형은 지금 진행중인 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그러나 '지금'의 기간이 비교적 긴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John works for KBS.(KBS가 그의 직장)
John is working for KBS.(알바로 일한다는 뜻)
3. 현재완료형과 과거형을 혼동하지 말라
과거형은 과거 어느 때에 일어난 일이나 동작을 나타내고, 현재완료는 1) 지금 막 끝난 동작 2) 과거에 시작하여 지금도 계속하는 동작 3) 과거의 경험 4)과거의 동작이 가져온 현재의 결과 등을 나타낸다. 과거형과는 매우 다른 뜻이다. 그러므로 현재완료형을 쓸 때는 뜻을 잘 생각하고 써야 한다. 한국말식으로 생각하고 쓰면 늘 틀릴 것이다.
☞ I have just finished my composition.(지금 막 작문을 끝냈다.)
대화일 경우에는 "I just finished my composition."이라고 써도 되지만 문어체의 경우 원칙적으로 완료형을 써야 함
I have studied English since 1985.(ㅇ)
I studied English since 1985(×)
4. 과거완료의 용법
과거완료는 두개의 과거를 말하면서 그 중 하나가 다른 동작보다 이전임을 밝히려고 할 때만 쓴다. 그렇지 않으면 과거 완료형을 쓸 필요 없이 과거형만 쓰면 된다.
☞ When I got there they had already gone home.
John drove over and picked us up because our car had broken down.
I went to the bookstore, brought a couple of books, and went home.
5. 관사 the의 용법
관사도 그 의미를 잘 알아야 바르게 쓸 수 있다. The가 명사에 붙으면 그 명사는 특정의 것이 된다. "Open the door,John."이라고 했을 때 the door는 any door가 아니라 the specific door,즉 그 문이다. "I take a bus when I go home."이라고 말하면 노선이 다른 몇 가지 중에서 a bus를 탄다는 뜻이다. 그러나 I take the bus when I go home이라고 말하면 the bus는 항상 타는 특정의 버스를 의미한다. 그러나 the가 일반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the가 분은 명사의 특정의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임을 나타낸다는 뜻이다. The가 이런 뜻으로 쓰일 때 영어로는 generic reference라고 말한다.
The tiger is a fierce animal.
문맥으로 보아 이 문장에서 the tiger는 특정의 타이거가 아니라 호랑이라는 일반적인 뜻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이 문장에서 the tiger를 '그 호랑이'라고 풀이한다면 논리적인 모순에 빠지게 된다. 왜냐하면 다른 호랑이는 사나운 동물이 아닌데 그 호랑이만 사납다는 말로 들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the가 특정의 것을 가리키느냐,일반적인 것을 가리키느냐는 문맥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6. 관사의 용례
다음 예문들은 간단하지만 관사를 쓰는 경우와 쓰지 않는 경우를 명확히 구분해준다.
1) I saw John.
I saw the John.
I saw a John.
I saw some John.
I saw Johns.
2) I saw bottle.(×)
I saw a bottle.
I saw the bottle.
I saw some bottle.(×)
I saw some bottles.
3) I saw furniture.
I saw the furniture.
I saw a furniture.(×)
I saw some furniture.
I saw some furnitures.(×)
→ uncountable noun:a, some을 쓸 필요가 없고, 복수형도 없이 그 자체로 복수형
4) I saw cake.(○)
I saw a cake..(○)
I saw the cake..(○)
I saw some cake..(○)
I saw some cakes..(○)
→ 때에 따라 불가산,가산명사 모두 可. 생일 케익은 a piece of cake 이라고 세지만, 셀 수 있는 모양으로 만들어진 케익은 a cake,two cakes로 표현
5) I have a work to do..(×)
I have many works to do..(×)
I have some work to do.(○)
I have a lot of work to do.(○)
→ 여기서 work는 일이라는 뜻. 그래서 단복수가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여기서 some work의 some은 '몇 개의'가 아니라 '어떤'이란 뜻이다. A lot of는 much란 뜻이므로 수와 상관이 없다. 즉, uncountable noun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6) I have a knowledge.(×)
I have many knowledges.(×)
I have some knowledge.(○)
I have a lot of knowledge.(○)
→ knowledge는 information, music 등과 마찬가지로 불가산이다. a knowledge나 many knowledge는 있을 수 없다.
7. 부정관사 a/an의 의미.
부정관사 a/an이 붙어서 사용된 명사가 단수임을 말해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실제 쓰려고 할 때 긴가민가한 경우가 많다.
1) I had a cheesburger for lunch today.
I had a big lunch today.
우선 한국어를 바탕으로 영어를 생각해서는 안된다. 영어식으로 생각한다면 for lunch에서 lunch는 불가산명사이다. 그러므로 관사 a를 붙여서는 안된다. 그러나 big lunch는 a kind of lunch라고 생각되므로 a를 붙이는 것이다. 명사가 countable이냐, uncountable이냐는 그것이 사용되고 있는
문장의 문맥에 달려 있으므로 글을 읽을 때도, 쓸 때도 문맥은 매우 중요하다.
2) Music was part of his life.
Teaching swimming was a part of the program.
우리말로는 생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a가 들어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영어로는 그렇지 않다. '생의 일부'라는 개념은 수로 헤아릴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a를 붙여서는 안된다.
그러나 part of the program에서는 수영을 가르치는 것이 프로그램의 몇 가지 종목 중 하나라는 뜻이므로 분명히 '하나'라는 뜻이 들어 있다. 그래서 a가 붙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글을 쓰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a가 붙기도 하고 안 붙기도 한다.
3) Mountain climbing is strenuous exercise.
Mountain climbing is a strenuous exercise.
관사 a가 들어가면 필자가 마음속으로 '일종의'라는 생각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a가 없으면 그런 생각이 없다는 뜻이다. 한국어 식으로 생각한다면 차이를 느낄 수 없다. 이와 같은 느낌의 차이는 native에게서 배울 수밖에 없다.
8. But/so/and/because를 문장 선두에 쓰지 마라
이 낱말들은 모두 절과 절을 이어주는 접속사로서 정상적인 위치는 절과 절 사이이기 때문이다.
I didn't like apples very much, but I l ate two this morning.
It was a fine day, so we went on a picnic.
John was reading and Jane was listening to music.
I had to give up the project because I ran out of money.
그런데도 불구하고 but/so/and/because를 문장 선두에 쓰고 싶어지는 것은 우리말의 버릇 때문일 것이다. 우리말로는 그래서/그리고/때문에 를 굉장히 자주 사용한다.
그러나 영어로는 그런 뜻이 문맥 속에 숨어있다. 그래서 but/so/and/because를 문장 선두에 쓰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나 but이나 so를 꼭 써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러면 접속사가 아닌 however나 therefore를 쓰면 될 것이다.
9. Colon의 용법
Colon을 사용하여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1) 앞에서 쓴 명사의 내용을 열거할 때
He named his three favorite novelists : Hemingway, Steinbeck, and Faulkner.
2) 앞에서 쓴 대명사의 내용을 간단히 설명할 때
This I believe : All men are created equal.
10. Semicolon의 용법
1) 접속사 없이 두개의 문장을 하나로 만들 때
Father died ; it was a fatal blow to us.
2) 비교적 긴 item을 나열할 때
The elected officers were John Major, president; Paul White, vice president; Jim Hawkins, treasurer; and Susan Man, secretary.
3) 앞에 있는 statement를 간단히 설명할 때
She organized her work well; for example, by putting correspondence in folders of different colors to indicate degrees of urgency.<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6px;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x; TEXT-AL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