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정보

[스크랩] 유명인의 명작폼을 완성한 연령은 대부분 60세넘어서

양곡(陽谷) 2010. 12. 4. 10:06
 

 






더불어 사는 삶


더불어 사는 삶이란 인간적으로
산다는 의미이다.

인간적으로 살려고 하면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더불어 사는 삶 을 살게 된다.

인간적으로 산다는 말이란 따듯한 마음을
가지고 서로 나누며 사는 것이다.

인간적으로 산다는 의미는
이웃을 사랑 하고
배려하고

도와주고
같이 사는 모습이다.

더불어 사는 삶이란
자기 자신도 이웃이 되어

이기적이 되지 않고
어느 정도 우리의 본능을 초월 하는 모습이다.

더불어 사는 모습은
나와 나의 가정의 복지를 초월해서

이웃을 생각하고
이웃과 계산에서 초월 하고

이웃의 고민을 같이 나누고
이웃의 아픔을 같이 느끼는 삶이다.

더불어 사는 삶 은
일부 종교인들의 독점 사고가 아니며

진리를 깨달은 사람들의 삶도 아니고
상식을 알고 사는 사람들의 삶이며

인간적으로 살려고 하는 인간에게
주어진 삶 자체이다.

보다 밝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모셔온글-



 
 

 

웰에이징(Wellagin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을 '웰빙(Wellbeing)'이라고 한다면,

사람이 사람답게 죽는 것을‘
웰다잉(Welldying)'이라고 하며,
사람이 사람답게 늙는 것을 '
웰에이징(Wellaging)'이라고 합니다.

[웰에이징(Wellaging Manual)]의 저자 박상철 교수는

늙는다는것은 생존을 위한 변화라고 합니다.

그는 건강한 삶을 위한 5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움직이라. 적응하라. 정확하라. 느껴라. 생각하라”입니다.

의미있는 진단입니다.

사람의 연령에는 자연연령, 건강연령,

정신연령, 영적연령이 있습니다.

영국의 노인 심리학자 브롬리는 '인생의 4분의 1은

성장하면서

보내고, 나머지 4분의 3은 늙어가면서 보낸다.

'라고 했듯이 늙어가는 시간은 길고 중요합니다.

"사람이 아름답게 죽는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어려운 것은 아름답게 늙어가는 일이다.

"라고  
앙드레지드가 말했듯이

아름답고 행복하게 늙어가는 것은쉽지 않습니다.
 

웰에이징 하기 위해서는먼저 일과의 관계가중요합니다.

나이 들면 들수록 열정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4대 고통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첫째는 질병입니다.

둘째는
고독감,

셋째는 경제적 빈곤,

넷째는
역활상실입니다.

점점 의욕과 열정을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노년을 초라하지 않고 우아하게 보내는 비결은

사랑, 여유, 용서, 아량, 부드러움 등의 요소도 중요하지만

핵심적인 요소는열정필요합니다.


노년기에도 열정을 가지면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역사적인 통계에도 노년기의 뚜렷한 업적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썬샤인 잡지에 의하면

세계 역사상 최대 업적의 35%는

60세부터70세 노인들에 의하여이루어 졌고

23%는 70-80세 노인, 그리고 6%는 80대에 의하여

성취되었다고 합니다.

결국 역사적 업적의 약 64%

60세 이상의사람들에 의하여성취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소포클레스가「클로노스의 에디푸스를 쓴것은 여든살였습니다.

테가 「파우스트」을 완성한 것도

여든이 넘어서였습니다.

다니엘드 포우는 쉰아흡살이 되어서야「로빈슨 크루소」를 썼고,

칸트는 쉰일곱 살 때「순수이성비판」을 발표했고,

미켈란젤로는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전의 돔을 일흔살완성했습니다.

베르디, 하이든, 헨델 등도 고희(古稀)의 나이를 넘어

불후(不朽)명곡을 작곡했습니다.

렘브란트나 모네의 그림, 예이츠의 문학에서

걸작으로 손꼽히는것들도

그들의 생애의 만년에 가서 완성되었던 것입니다.

아인쉬타인이나 슈바이쩌 역시

노년에서도 창조적인 일을많이했습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에 있어 웰에이징을 하려면

나이가들면 들수록 모든 인간관계를 나 중심이아니라

남을 중심으로 가져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초라하지 않으려면 대인관계를 잘 가져야 합니다.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인생에 실패한 이유에 대한 조사를했답니다.

조사 결과 인생에서 실패한 이유가 전문적인 기술이나

지식이부족했다고답변한 사람은 15퍼센트에 불과했답니다.

나머지 85퍼센트는 잘못된 인간관계라고 꼽았답니다.

그만큼 인간관계는

살아가는데 중요한부분을 차지한다는이야기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사람은 이기주의(에고이즘)가 강해집니다.

노욕이 생깁니다.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면 폭군 노릇을 하고,

자기 몰입 나르시즘(narcissism)에빠질수 있습니다.

염세적이고, 운명론적인 생각이 지배하는

페이탈리즘(fatalism)에빠질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의 대인관계는 초라할 뿐입니다.

결국 인간관계는 중심 축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물질 중심의 인간관계를 갖는 사람은

나이 들면 들수록초라해집니다.

2. 일 중심, 나 중심의 인간관계를 갖는사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3. 그러나 다른 사람 중심의 인간관계를 갖는 사람은

나이들면서 찾아오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따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4.가장 좋은 풍요로운 인간관계를 갖는 것은

신불중심의 인간관계일수도있습니다.

변함없는 가치관을 갖는 신불 중심의 대인관계를가지면

웰에이징 하는데 도움이되겠지요.

노년에 필요한 친구의 유형

  

1. 건강 관리에 철저한 친구

 
노년의 행복은 무엇보다 건강에 달려 있습니다.
운동, 식생활 등 평소에 건강 관리를 잘 하는 친구와 
 어울려야 함께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2. 성격이 낙천적인 친구
 
노년이 되면 고독이나 우울증에 빠지기 쉽습니다.
긍정적인 친구와 어울려야 밝 명랑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3. 유머 감각이 풍부한 친구
 
노년의 삶은 무미 건조해지기 쉽습니다.
유머 감각이 뛰어난 친구를 사귀어야 쾌활하고 즐거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4. 취미가 같거나 다양한 친구
 
경제적 활동 시간이 줄어드는 노년에는
취미활동이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다양안 취미를 가진 친구와 어울려야 활동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5. 마음이 젊은 친구
 
노년이 되면 마음이 경직되게 마련입니다.
 마음이 젊고 신세대처럼 행동하는 친구와 어울려야
열정적인 삶을 살 수가 있습니다.
 
 
6. 언제든지 전화하거나 만날 수 있는 친구
 
고민이 생겼을 때 언제든지 전화하여 
마음을 털어놓거나 직접 만나서 대화할 수 있는 친구가 있어야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해소되고,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7. 봉사하는 친구
 
인생의 반은 나를 위해서, 나머지 반은 남을 위해 살라는 말이 있습니다.
 봉사하는 친구와 어울리며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할 때
노년의 삶이 의미 있고 아름다워집니다.
 
 
8. 나이가 어린 친구
 
노년이 될수록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지기 쉽습니다.
 나이가 어린 친구를 사귀며 변화에 뒤쳐지지 않으려는
노력을 기울려야 자신감 넘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9. 소중한 옛 친구 
 
초, 중 . 고, 대학교 시절 친구들은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친구들입니다.
내가 먼저 친구들의 인생에 필요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면,
노년의 삶이 행복해집니다.
 
 
10. 배우자는 가장 친한 친구 
 
아내는 청년 시절에는 연인, 중년 시절에는 친구,
노년기에는 간호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한 노년을 보내고 싶으면 아내를 가장 친한 친구로 만들어야 합니다.
 

 
영국의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는 "새에겐 둥지가 있고,
거미에겐 거미줄이 있듯, 사람에겐 우정이 있다." 는 말을 남겼습니다.
 
 
젊었을 때도 마찬가지지만, 노년의 삶도 어떤 사람과
어울리느냐에 따라 행복과 불행이 달라집니다.
노년에 필요한 10가지 유형의 친구들과 진실된 우정을 맺으며, 
하루하루 즐거운 삶을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 옮긴 글입니다 - 

 
 

 







출처 : 비영리모금기술
글쓴이 : 양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