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장경제에 왜 국가가 사회복지제도를 통해 개입해야 하는지 (실증적/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의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
- 시장경제의 경우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유경쟁을 통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제조건으로 본다면 사유재 이어야하며, 재화의 거래에서 외부효과가 발생하지 않아야하면, 재화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규모의 경제 효과가 적어야 시장경제는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세상은 애덤스 스미스의 이론처럼 그렇게 세상을 낙관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공공재가 발생하였고, 외부효과, 불완전한 정보, 역의 선택, 도덕적 해이, 위험발생의 상호의존성, 독점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시장의 문제점(빈곤자 발생 등)을 해결하기에 등장한 공공재와 외부효과 및 불완전한 정보, 역의 선택, 도덕적 해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방지하고자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용어들이다.
실증적/경제적 측면이란 우선 말 그대로 증명이 되어야 하며, 경제에 어떠한 매카니즘이 작용하는가를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공공재의 경우 비경쟁적이고 비배타적인 특성을 지니므로 시장기제를 통한 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배분되는 재화의 소비가 경쟁적이고 배타적이어야 하나 공공재는 그렇지 않음으로 인해 무임승차현상이 발생한다.
외부효과의 경우, 사람들이 재화의 교환행위를 하면서 시장가격의 변동 없이 다른 사람의 복지에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다. 부정적 외부효과(예: 환경오염)나 긍정적 외부효과(사회복지서비스)의 존재하는데, 긍정적 외부효과가 존재하면 시장기제에서의 재화의 공급이 불충분해진다. 왜냐하면 타인의 공급에 의해서 이득을 볼 수 있으므로 이런 이유로 사회복지서비스는 시장기제에 맡겨둘 수 없고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 필요성이다.
불완전한 정보의 경우, 시장기제에 의한 배분이 효율적이기 위한 전제는 개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합리적 선택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필요 (예; 의료서비스 등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사회복지 정책으로 개입을 하여 좀더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다.
역의 선택의 부문에서는 실업보험의 예를 들면, 시장기제의 경우 보험회사보다는 개인이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민간경제에 맡겨두면 위험발생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이 적극구입을 하게 되고 민간보험사의 경우 높은 보험료를 통해 이익을 창출하려고 함으로써 위험 발생이 낮은 집단은 이탈하게 되고, 높은 위험집단만 잔류하게 되어 높은 보험료로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경제적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또한 보험에 있어 보험가입자가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비해 위험발생을 예방하려는 노력을 덜 하게 되는 현상인 “도덕적 해이”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행위에 대한 충분한 정보화 이를 통한 통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에 의한 제공(사회보험)이 보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위험발생의 상호의존성의 경우, 예를 들어 민간보험의 재정안정을 위해 위험발생이 독립적이어야 하며, 위험발생율의 예측이 가능하여야 하나, 실업보험과 노령연금의 경우 위험이 상호의적이며, 위험발생율의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국가가 개입을 해야 한다.
독점의 문제도 발생하는데,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시장체계는 독점을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 배분을 이룰 수가 없어 경쟁을 통해 재화의 가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국가에 의한 재화의 제공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
이 모든 부문의 문제점은 국가의 개입(사회복지 정책)으로 실증적/경제적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통)강의보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시설은 복지재벌의 사유재산?? (0) | 2007.10.15 |
---|---|
[스크랩] 종교와사회복지 (0) | 2007.10.14 |
사회복지 종사자 와 전문가가 뽑은 2007 대선 복지의제 (0) | 2007.10.13 |
한국의 사회복지운동 (0) | 2007.10.03 |
인권과 사회복지 (0) | 2007.09.30 |